자기개발
-
[무엇을 위해 살 것인가] - 윌리엄 데이먼What I read/자기계발 2013. 7. 13. 20:24
* 2013년 6월의 어느 날 시작해서 7월 13일 다 읽다. 평생에 걸쳐 이룩할 목적, 삶을 관통하는 목적이 있으면 '인생' 이라는 시간을 보다 값지게 살아낼 수 있다고 말하는 책이다. 이 책에서 주로 거론하는 '목적'이 필요한 주체는 청소년이지만, 성인에게도 적용해 볼 수 있는 얘기라고 생각한다. 물론, 인생을 결정지을 그 숭고한 '목적'을 청소년기에 발견해서 발전시켜 나간다면,성인기에 이른 지금의 삶은 더욱 더 많이 발전한 형태에, 그 목적에 한 걸음 다가간 형태이겠지만,그렇지 않다해도 늦었다고 생각할 것 없이, 목적없이 방황하는 이들이라면 이 책이 충분히 도움이 될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.그리고, 지금부터라도 그 목적을 찾아볼 수 있다고 생각하고, 지금 도전해도 늦지 않다고 생각이 된다.마치, 내게..
-
[광고천재 이제석] - 이제석What I read/자기계발 2013. 5. 22. 16:18
2013년 5월 18일 읽다. 이 책을 읽으면서 들었던 내 개인적인 느낌을 한 마디로 요약하면 딱 이거다. "오만과 자신감은 종이 한 장 차이다." 글쓴이의 attitude가 '오만함'이 될지, '자신감'이 될지는 좀 더 지켜봐야 알 것이란 생각이 들고. 가볍게 읽을 수 있는 책이고, 글자도 크고 그림도 무지 많아서 1-2시간이면 앉은 자리에서 후딱 읽을 수 있는 책이다. 내가 워낙 'creativity'에 목을 매는 사람인지라 creativity 관련해서 영감을 얻을 수 있는 책이라면 종류나 저자를 가리지 않고 읽는 편이다. 일단 저자의 creativity는 잘 알겠고. 어떻게 하면 창의적일 수 있을까? 에 대한 질문은 이 저자는 이렇게 얘기하고 있다. * 파괴는 창조의 어머니다. * 창의는 불만으로부..
-
[세스 고딘의 시작하는 습관] - 세스 고딘What I read/자기계발 2012. 1. 27. 16:12
2012년 1월 26일 읽다. 여기서는 처음부터 끝까지 '시작'하라 라는 말이 전부이다. 왜 당장 시작해야 하는지, 시작하지 않는 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, 온통 '시작' 에 초첨을 맞추고 당장이라도 '시작'할 것을 종용하고 있다. 이 책의 표지에도 얼핏 힌트를 주고 있는 것이 있다. 'POKE THE BOX' 여러 개의 버튼이 달려 있는 박스가 있고 버튼을 누름에 따라 결과 액션이 달라지는 박스이다. 버튼을 눌러보기 전까지는 이것저것 다 눌러보기 전까지는 어떤 액션을 보일지, 어떤 결과가 나올지 알 수 없다는 것이다. 그러니, 지금이라도 당장 '눌러보라' 라는 것이다. 술술 읽히는 맛도 있고 무엇보다 몇 시간 안 되어서 다 읽을 수 있는 가벼운 책이긴 한데 무언가, 가슴을 치게 만들고 머리를 때리며 크게..
-
[똑바로 일하라] - 제이슨 프라이드, 데이비드 하이네마이어 핸슨What I read/자기계발 2012. 1. 2. 15:13
2012년 1월 1일 - 1월 2일 읽다. 37signals의 두 사람이 쓴 책. 근래 읽은 보기드문 괜찮은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. 지금 제대로 가고 있는지, 잘 가고 있는지, 한 번 돌아볼 수 있고, 방향을 잡을 수 있는 책이다. 결론적으로, 나는 그리 잘못된 길을 가고 있지 않는 것 같았다. 참 다행이란 생각이 들었고, 이 책으로 인해 커다란 우군을 얻은 듯한 기분이 들었다. 무엇이 진정한 효율이고, 어떤 것이 더 나은 방법인지, 비즈니스를 하든, 자기 개발을 하든, 자기 관리를 하든 저자들이 생각하고 있는 옳은 길을 제시하고 있는 책이다. 이들의 생각의 방향에 무한한 공감을 표하는 바이다. 또한 어쩜 이리도 단 한 마디의 현학적인 표현 없이도 간단 명료하게, 그리고 아주 효과적으로 말하고자 하는 바..
-
[하버드 스타일] - 강인선What I read/자기계발 2011. 12. 12. 23:32
2011년 12월 11일 읽다. 하버드! 이름만 들어도 가슴이 설레는 이름이다. 어렸을 때 하버드대의 공부벌레들이라는 책을 읽고 맹목적으로 하버드 대학에 진학하는 꿈을 가졌었는데... 고교 때 하버드 학부에 진학한다는 건 왜 생각하지 못했을까. 한 번 도전해 봄직했을 것 같은데... 학교 활동과 더불어 외부활동까지 충분히 활발하게 했고 나름 리더십 있다 자부하며 살았던 고교 생활이었는데... 하버드 학부에 도전할 수 있다는 옵션이 있다는 걸 전혀 몰랐던 것은 정말 내가 우물 안 개구리였다는 생각이 든다. 그저, 한국의 명문대 가는 것이 목표였으니...ㅠ.ㅠ 지금은 고교 때 아예 미국 명문대 진학을 목표로 공부하는 아이들이 많은 걸로 알고 있다. 참으로 아쉬운 청춘이 아닐 수 없다. 지나가버린, 그리고 돌..